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내 유일 스마트 팜 턴키 시공 기업 그린플러스 전망

by ⺣̤̹ˁ῁̯ 2022. 4. 12.
반응형

동사는 1997년 알루미늄 사업으로 시작한 후에, 온실용 알루미늄 바를 공급하며 온실 사업으로의 사업 확장을 시작하였다. 이후, 2000년 일본 스마트팜 전문 기업 다이센에 알루미늄 자재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본격적인 스마트팜 레퍼런스를 확보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린 플러스는 일본 다이센을 통해 60만 평 이상의 스마트팜 건설 사업에 참여하였으며, 한국에선 20만 평 이상의 스마트팜을 구축하였다.

 

그린 플러스 사업 분석 및 전망

 

주주와 지배구조

  • 박영환 외 특수관계인 32.10% 
  • 자사주 0.74% 

산업 근황

 

국내 스마트팜 시장 정부 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정부는 농촌 인구 감소, 농촌 노령화에 대한 해결책으로 스마트팜을 선택하였다. 스마트팜은 1인당 생산량을 큰 폭 증가시켜, 부족한 농촌 일손을 대체하며 농촌 수입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스마트팜은 정부의 농업 정책에서 빠질 수 없는 부분이 된 것이다. 2020~2021년 총 800억 원 규모의 스마트팜 혁신 밸리 사업을 완료했으며, 지자체들의 스마트팜 단지 구축도 속도를 올리는 중이다. 2022년은 제천, 평창, 상주, 밀양, 여주에서도 지자체 주도 사업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린 플러스는 국내 1위이자 턴키 시공이 가능한 유일한 업체로, 정부 스마트팜 정책의 최대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 모델

 

그린 플러스는 현재 알루미늄 스마트팜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회사로 연결된 그린 피시 팜은 장어 사업을 하고 있다.

 

1. 스마트팜

 

위에 산업 근황을 참고하세요.

 

2. 알루미늄 

 

알루미늄 사업부는 압출 생산라인을 기반으로 건축용, 산업용의 다양한 제품 등을 생산한다알루미늄 사업부를 통해 생산하는 제품의  15%가 자사 스마트팜 사업에 사용되며스마트팜 사업부의 높은 이익률과 안정적인 수익 구조로 이어진다. 기존 건설, 산업용 외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최근 신규 알루미늄 제품인 그린롤 테이너 개발에 성공했다. 스마트 물류용 시장에 진입하였다. 현재 쿠팡, 롯데마트, SK바이오사이언스, 보령제약 등 대형 고객사를 확보하며, 연간 약 6060억 원의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제품은 가볍고, 녹이 생기지 않는 알루미늄 소재 특성을 기반으로, 기존의 스틸 롤테이너를 대체한다.

 


 

그린 플러스 전망 포인트

 

  1. 국내에서 유일하게 스마트팜 턴키 시공이 가능한 기업. 정부 스마트팜 혁신 밸리의 대부분을 수주 및 시공했으며, 향후 국내 스마트팜 시장이 커질 경우 수해 예상.
  2. 호주 스마트팜 전문기업 Farm 4.0과 호주 및 뉴질랜드 지역 스마트팜 공급 계약 체결. 동사는 해당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UAE를 대상으로 오이 스마트팜 실증사업 진행 중. 글로벌 스마트팜 시장 진출.
  3. 동사의 알루미늄 사업부는 기존 건설 및 산업용 알루미늄 제품을 넘어 스마트 물류용 시장 진입 성공. 올해 쿠팡 등 대형 고객사 확보에 성공.

같이 보면 좋은 글
 

2022.04.11 - Hs코드 조회하는 법 (주식 투자에 활용하는 방법) 1편

 

Hs코드 조회 하는 법 (주식 투자에 활용하는 방법) 1편

저도 수출을 많이 하는 회사를 투자할 때 자주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인데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HS코드를 조회해서 회사 본사 위치를 확인 한 다음 짧게는 10일 단위로 트래킹 가능한 방

o-oing-test.tistory.com

 

2022.04.11 - Hs코드 조회하는 법 (주식 투자에 활용하는 방법) 2편

 

Hs코드 조회 하는 법 (주식 투자에 활용하는 방법) 2편

1편에선 내가 찾고자 하는 제품의 HS코드를 찾는 거 까지 배웠는데요. 이번 편은 그 HSCODE를 사용해서 유의미한 정보를 찾아서 어떻게 투자에 활용할지 공부해 보겠습니다. HS코드를 활용해서 투

o-oing-test.tistory.com

 

 

 

반응형

댓글